Menu
문헌ë¡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23. 23世 〉38. <부정공>ì„í¬ê³µíœ˜ê·¼ìˆ˜ìˆœì˜ë¹„명(石圃公諱根洙殉義碑銘)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23. 23世 〉40. <부정공>오산공휘광ë‘묘갈명(梧山公諱光枓墓碣銘)
 
1. 문헌 ëª©ë¡ > 23. 23世 >
39. <부정공>처사휘ë™í•˜ë¬˜í‘œ(處士諱æ±å¤å¢“表)
처사휘ë™í•˜ë¬˜í‘œ(處士諱æ±å¤å¢“表) ë¶€êµ°ì˜ íœ˜ëŠ” ë™í•˜(æ±å¤)ìš”, ìžëŠ” 충오(å¿ å¾), 호는 가천(å¯å·)ì´ì‹œë‹¤. 우리 옥천 조씨는 ê³ ë ¤ 문하시중 휘 장(ç’‹)ì„ ì‹œì¡°ë¡œ 하여 三세를 지나 ë†ì€(農隱) 충헌공 휘 ì›ê¸¸ì— ì´ë¥´ëŸ¬ í¬ì€(圃隱) ì • 몽주(鄭夢周)와 함께 공양왕(æ­è®“王)ì„ ì˜¹ë¦½í•œ 공으로 옥천 부ì›êµ°ì— 봉해지셨다. ì´ë¶„ì˜ ì•„ë“¤ 휘 유(ç‘œ)는 호가 건곡(虔谷)으로 ë²¼ìŠ¬ì´ ì „ë†ì‹œ 부정(典農ä¾å‰¯æ­£)ì— ì´ë¥´ë €ëŠ”ë°, 고려가 ë§í•˜ìž ì€ê±°í•˜ì—¬ ì ˆì˜ë¥¼ 지켰으며, 세종 ë•Œì— íš¨ìž(å­å­)ì˜ ì •ë ¤ë¥¼ 내리고, 겸천ì›(謙å·é™¢)ì—ì„œ 향사(享祀)한다. ì†ìž 휘 지륜(智崙)ì€ ë²¼ìŠ¬ì´ ì°°ë°©ì´ì—ˆëŠ”ë° å››í˜•ì œê°€ ìš°ì• (å‹æ„›)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, 그후 휘 대성(大æˆ)ì€ í˜¸ê°€ 매창(梅窓)ì¸ë° 문장과 í–‰ì˜(行義)ê°€ 있어 곡수ì›(曲水院)ê³¼ 무곡ì›(武曲院)ì—ì„œ 향사하니 ì´ë¶„ì´ ê³µì˜ å三세조ì´ì‹œë‹¤. ê³ ì¡°ì˜ íœ˜ëŠ” ë‘채(斗采)ìš”, ì¦ì¡°ì˜ 휘는 ì°½ì›(昌æº), ì¡°ì˜ íœ˜ëŠ” 형구(馨ä¹) 호는 지ì€(智隱), ê³ ì˜ íœ˜ëŠ” ì˜ì¸(æ°¸ä») 호는 ìƒìš´(相雲)ì¸ë°, ëª¨ë‘ í–‰ì˜ê°€ 있었으며, 비(妣) 문화 유씨는 ë™ì§€ì¤‘추부사(åŒçŸ¥ä¸­æ¨žåºœäº‹) 정호(å»·æ¿ )ì˜ ë”°ë‹˜ìœ¼ë¡œ 고종 신미(一八七一)ë…„ ì •ì›” å一ì¼ì— ê³µì„ ë‚³ì•˜ë‹¤. ê³µì€ ì–´ë ¤ì„œë¶€í„° 재주와 ì„±í’ˆì´ ì´í˜œ(è°æ…§)하여 학당ì—ê°€ 기송(記誦)ì´ ë‚¨ë‹¤ë¥´ê³ , 어버ì´ë¥¼ ì„¬ê¹€ì— ëœ»ì„ ì–´ê¸°ëŠ” ì¼ì´ 없었다. 장성해서는 연재(淵齋) 송 ì„ ìƒì˜ ë¬¸í•˜ì— ë‚˜ì•„ê°€ 예경(禮經)ì„ ê°•ë¡ í•˜ê³ , ë˜ ë©´ì•”(勉è´) 최 ì„ ìƒì„ 종유(從游)í•˜ì˜€ëŠ”ë° ìµœ ì„ ìƒê»˜ì„œ 매우 기대하고 허여하여 시를 주었는ë°, 「국화와 대나무는 ëŠ¦ê°€ì„ ê²¬ë””ë„¤ 〈黃花綠竹è€æ·±ç§‹ã€‰ã€ë¼ëŠ” ê·€ì ˆì´ ìžˆë‹¤. 부군께서는 시세가 í¬ê²Œ 변하는 ê²ƒì„ ë³´ê³ ëŠ” 세ìƒì— 나아갈 ëœ»ì„ ë‘지않고 ë‘문불출하며 ì˜¤ì§ í›„ìƒ ê°€ë¥´ì¹˜ëŠ” ê²ƒì„ ìžì‹ ì˜ 임무로 삼으니, 배우러 온 ì œìžë“¤ì´ 매우 많았으며 ë˜ í–¥ë¦¬ì˜ ë™ì§€(åŒå¿—)들과 팔우계(å…«å‹å¥‘)를 ì¡°ì§í•´ 아름다운 í’ì†ì„ ì¼ìœ¼í‚¤ëŠ”ë° íž˜ì“°ë‹ˆ 사람들 모ë‘ê°€ 추중(推é‡)하였다. 향년 å…­åä¸€ì„¸ì¸ ì„í•´(一ä¹ä¸‰äº”)ë…„ ì •ì›” 二å一ì¼ì— 졸하니, 곡성 오곡면(梧谷é¢) 미산리(彌山里) ì•ž ì„ ì˜ ì•„ëž˜ 건좌(ä¹¾å) ì–¸ë•ì— 장례하였다. ë°° 죽산 박씨(竹山朴æ°)는 내현(來鉉)ì˜ ë”°ë‹˜ìœ¼ë¡œ 부군과 ë™ê°‘으로 å七년 후 五월 二åå…«ì¼ì— ì¡¸í•˜ì˜€ëŠ”ë° ë¬˜ëŠ” 부좌(附左)ì´ë‹¤. 三남 一녀를 길렀으니, 정훈(正勳)·재훈(在勳)·명훈(明勳)ì¸ë° ìž¬í›ˆì€ ì¶œê³„í•˜ì˜€ìœ¼ë©°, ë”¸ì€ ì°½ë…•(昌寧) ì¡° 병설(曺秉å¨)ì—게 출가하였다. ì†ìž 태ìµ(泰翼)ê³¼ 윤ìµ(崙翼)ì€ ìž¥ë°©(長房) 소ìƒì´ìš”, 성ìµ(æˆç¿¼)ì€ ê³¼ë°©(éŽæˆ¿) 소ìƒì´ë©°, 수ìµ(洙翼)ê³¼ ì„ ìµ(宣翼)ì€ ê³„ë°©(季房) 소ìƒì´ë‹¤. ì´í•˜ ì¦ì†Â·í˜„ì†ì€ 번거로와 다 기ë¡í•˜ì§€ 못하며, ë¶€êµ°ì˜ ìœ ê³ (éºç¨¿)ê°€ 세ìƒì— 전하고 있다. ì•„! ë¶€êµ°ì˜ í•™ë¬¸ê³¼ í–‰ì˜ëŠ” í›„ì„¸ì— ì „í•  ê²ƒì´ ë§Žìœ¼ë‚˜ ë¶ˆì´ˆì˜ ìž¬ì‹ê³¼ 성ì˜ê°€ 부족하여 ê·¸ ë•ì˜ ë§Œë¶„ì˜ ì¼ë„ 다 천양(é—¡æš)하지 못하겠으니, ì–´ì°Œ ìŠ¬í””ì„ ê²¬ë””ê² ëŠ”ê°€? ì˜¬ë´„ì— ì—¬ëŸ¬ ì¢…í˜•ì œë“¤ì´ ë¹„ì„ ì„¸ìš¸ ê²ƒì„ ì˜ë…¼í•˜ê³  볼초 ë‚´ê°€ 대략ì´ë‚˜ë§ˆ ì´ìƒê³¼ ê°™ì´ ì ëŠ”다. ê°‘ìž(一ä¹å…«å››)ë…„ 三월 ìƒì™„(上浣)ì— ìˆ˜ìµ(洙翼) 삼가 씀
 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23. 23世 〉38. <부정공>ì„í¬ê³µíœ˜ê·¼ìˆ˜ìˆœì˜ë¹„명(石圃公諱根洙殉義碑銘)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23. 23世 〉40. <부정공>오산공휘광ë‘묘갈명(梧山公諱光枓墓碣銘)